KOR  ENG
  • NEWS

  • AbClon’s strong foundations and innovative platforms will help drive the future of
    personalized medicine and safeguard the health and hopes of families.

News

번호 제목 날짜 조회
120

감사보고서 제출 파일첨부_유무

감사보고서 제출[개별/별도재무제표 관련 감사의견 및 재무내용]1. 감사의견 및 재무내용당해사업연도직전사업연도가. 감사의견 등-감사의견적정적정-계속기업 존속불확실성 사유 해당여부미해당미해당-내부회계관리제도 검토의견 비적정 등 여부미해당미해당나. 감사의견과 관련 없는 계속기업 존속 불확실성 기재여부미기재미기재다. 주요 재무내용(단위 : 원)-자산총계40,129,505,61246,968,450,549-부채총계10,800,330,97211,589,994,912-자본총계29,329,174,64035,378,455,637-자본금7,639,034,5003,785,304,000-매출액(재화의 판매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수익액에 한함)2,771,179,18714,375,025,279-영업이익-6,571,379,3974,283,394,713-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6,444,953,0234,703,873,260-당기순이익-6,444,953,0232,566,576,5472. 회계감사인명한영회계법인3. 감사보고서 수령일자2021-03-184. 연결재무제표 제출대상 해당여부아니오5.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1. 외부감사인이 감사종료 후 당해법인에 제출하는 감사보고서상의 재무제표는 당해법인의 주주총회의 승인 절차를 거쳐 확정된 재무제표가 아니므로 동 승인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2. 상기 자료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3. 2021-02-04 기공시된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30% 공시 이후 13,749,033원이 추가로 매출액에 반영되어 관련 계정인매출액, 영업이익,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당기순이익, 자산총계, 부채총계 금액이 동일한 차이가 발생하였습니다.  ※관련공시2021-02-04 매출액 또는 손익구조 30%(대규모법인은 15%)이상 변동 [자본잠식률] (단위 : %, 원)구분당해사업연도당해사업연도 반기자본잠식률(%) =〔(자본금-자기자본)/자본금〕×100--자기자본[지배회사 또는 지주회사인 경우에는 비지배지분 제외]29,329,174,64031,931,899,932자본금7,639,034,5003,795,304,000[최근 3사업연도의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률] (단위 : %, 원)구분당해사업연도직전사업연도전전사업연도(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자기자본)×100(%)21.9-9.6---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6,444,953,023-1,796,231,329자기자본[지배회사 또는 지주회사인 경우에는 비지배지분 포함]29,329,174,64035,378,455,63718,698,899,818[최근 4사업연도의 영업손실] (단위 : 원)구분당해사업연도직전사업연도전전사업연도전전전사업연도영업손실(지배회사인 경우에는 별도재무제표, 지주회사인 경우에는 연결재무제표)6,571,379,397-1,955,709,8551,544,989,990[손상차손비율 50%이상 해당여부]손상차손비율 50%이상 여부 ※손상차손비율(%) = [해당사업연도 매출채권이외의 채권에서 발생한 손상차손 누계액/자기자본]x100아니오

2021-03-18 807
119

앱클론, 미국암연구학회(AACR) 통해 CAR-T 세포치료제 두 편 연구성과 발표

앱클론(174900, 대표이사 이종서)이 4월 10일부터 15일까지 온라인으로 개최되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 참가해 CAR-T 세포치료제 AT101(혈액암 치료제)과 AT501(난소암 치료제)의 연구 성과를 유펜 대학 의과대와 서울대 의대 공동 연구그룹과 함께 발표한다고 12일 밝혔다. AT101은 CD19 질환단백질을 표적하는 B세포 유래 혈액암 치료제로, 기존의 CD19 CAR-T 세포치료제가 마우스 유래 항체인 FMC63을 사용하는 반면, AT101은 작용부위가 다른 인간화 항체로 개발해 면역원성을 최소화했다. AT101은 작용부위가 다르기 때문에 기존의 CD19 CAR-T 세포치료제(킴리아, 예스카타 등) 환자 모델은 물론이며 이에 불응하는 모델에 대해서도 폭넓고 강력한 항암효과를 나타낸다. AT501은 HER2 질환단백질을 표적하는 난소암 치료제로, 앱클론의 독창적인 기술인 Switchable CAR-T(zCAR-T)가 적용된 물질이다. 생체 내에 투여되는 스위치 물질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CAR-T 세포의 활성도를 조절하며, 기존 CAR-T 세포치료제의 단점인 CRS(Cytokine Release Syndrome)를 구조적으로 극복 가능하다. 또한, 스위치 물질의 변경을 통해 다양한 질환 단백질에 교차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플랫폼적인 성격이 강화된 차세대 CAR-T 세포치료제이다. AT101 및 AT501 두 물질 모두 동물실험에서 완전관해를 시현한 바 있으며, 회사는 향후 AT101부터 순차적으로 임상진입을 계획하고 있다. 또한 앱클론은 지난해 4월 임상을 위한 GMP 설비를 본사에 구축했으며 현재 AT101의 IND 신청을 위한 막바지 작업이 한창이다. 앱클론 관계자는 “다가오는 5~6월 경으로 예상되는 AT101의 국내 IND 신청을 앞두고, 이번 AACR에서는 기존 CD19 CAR-T 세포치료제 대비 차별화된 점을 강조할 것”이라며 “최근 노바티스사의 킴리아가 국내에서도 허가됨에 따라 CAR-T 세포치료제를 필두로 국내 세포유전자 치료제 시장이 열리고 있다. 앱클론은 AT101의 임상진입을 시작으로 CAR-T 세포치료제 전문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AACR은 매년 미국에서 주최되는 세계적인 암 관련 연례 학술대회다. AACR 2021의 초록은 학회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며, 온라인 포스터는 내달 10일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끝.

2021-03-12 843
118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12조에 의거,아래와 같이 외부감사인을 선임함에 따라 외부감사인 선임 사실을 당사 홈페이지에 공고합니다.=== 아   래 === 1. 외부감사인명 : 한영회계법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11, 태영빌딩)2. 감사대상기간 : 제12기~제14기 (2021. 1. 1 ~ 2023. 12. 31) 3. 감사계약 체결일 : 2021년 2월  15일4. 금융감독원보고일 : 2021년 2월 18일감사합니다.

2021-02-18 717
117

앱클론, 유럽 CAR-TCR 학회 통해 자사 CAR-T 파이프라인 우수성 발표

앱클론(174900, 대표이사 이종서)이 2월 16일부터 18일까지 개최되는 “CAR-TCR Europe Summit”에 참가해 자사의 CAR-T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AT101(혈액암 치료제)과 AT501(난소암 치료제)의 비임상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고 10일 밝혔다. 최근 FDA로부터 승인 받은 BMS의 CAR-T 세포치료제 Breyanzi도 이번 학회를 통해 소개될 예정이다. 앱클론은 펜실베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 U-Penn) 의과대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과 함께 관련 CAR-T 세포치료제를 공동 연구개발 중이다. 이번에 발표할 내용은 AT101 및 AT501의 CAR-T 동물모델 등의 약효관련 실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기존 CAR-T 세포치료제 대비 차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AT101은 CD19 질환단백질을 표적하는 B세포 유래 혈액암 치료제로, 기존의 CD19 CAR-T 세포치료제가 마우스 유래 항체인 FMC63을 사용하는 반면, AT101은 작용부위가 전혀 다른 새로운 인간화 항체를 개발하여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기존의 CD19 CAR-T 세포치료제(킴리아, 예스카타 등)에 불응하는 모델에 대해서도 AT101은 항암효과를 나타낸다. AT501은 HER2 질환단백질을 표적하는 난소암 치료제로, 앱클론의 독창적인 기술인 Switchable CAR-T(zCAR-T) 가 적용된 물질이다. 생체 내에 투여되는 스위치 물질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CAR-T 세포의 활성도를 조절하는 기전으로 기존 CAR-T 세포치료제의 단점인 CRS(Cytokine Release Syndrome)를 구조적으로 극복 가능하다. 또한, 스위치 물질의 변경을 통해 다양한 암종에 교차 적용이 가능함에 따라 플랫폼적인 성격이 강화된 혁신 CAR-T 세포치료제이다. 앱클론 관계자는 “5월 말경으로 예상되는 AT101의 국내 IND 신청을 앞두고, 앱클론의 CAR-T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의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향후에도 AACR(미국암학회) 등 주요 학회 발표를 통해 앱클론 CAR-T 핵심플랫폼의 우수함과 차별성을 적극적으로 알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끝.

2021-02-10 740
116

앱클론, 고형암 CAR-T 파이프라인 확장 본격화

앱클론(174900, 대표이사 이종서)이 메소텔린(Mesothelin), CD30 등을 타깃으로 새로운 질환의 CAR-T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있다. 앱클론은 현재 주요 CAR-T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으로 △질환단백질 CD19 타깃의 혈액암치료제 ‘AT101’ △질환단백질 HER2 타깃의 난소암치료제 ‘AT501’을 보유하고 있으며, 메소텔린 타깃의 어피바디 발굴 등 고형암 CAR-T 관련 연구개발도 상당 부분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  메소텔린은 췌장암을 포함한 고형암 세포에서 주로 발현되는 질환단백질로, 최근 고형암 CAR-T 세포치료제 개발의 주요 타깃으로 각광받고 있다. CD30은 호지킨림프종 등 혈액암에서 주로 발현되는 질환단백질이며, 근래에 CD19, BCMA 등에 이어 타깃 연구가 활발한 물질이다. 회사 관계자는 “2021년에도 세포유전자 치료제 시장의 성장은 가속화될 전망이며, 특히 CAR-T 세포치료제가 시장을 견인해 나갈 주역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현재 앱클론은 zCAR-T 기술을 기반으로 CAR-T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CD19, HER2에 이어 메소텔린, CD30을 다음 CAR-T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의 주요 타깃으로 확정하고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회사는 적극적인 CAR-T 파이프라인 확보로 CAR-T 세포치료제 전문 바이오텍으로 확고히 자리매김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한편, 앱클론은 올해 상반기 혈액암 CAR-T 세포치료제 AT101의 IND 신청을 계획하고 있으며, zCAR-T 기술이 적용된 AT501은 내년 IND 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다. 끝.

2021-01-11 827
115

앱클론, 주요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중 6위에 해당하는 R&D 정부지원 받아...

 * 주요 상장 제약·바이오기업의 상반기 R&D 정부보조금 현황(단위: 백만원, 자료: 금융감독원)유가증권시장(코스피)과 코스닥 상장법인 중 반기보고서의 연구개발비용 항목에서 R&D 정부보조금을 구분 기재한 제약·바이오기업 가운데 상반기 취득금액이 있는 총 68곳을 대상으로 집계한 결과, 앱클론은 6위에 해당하는 국가연구비를 지원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본 앱클론 정부보조금은 카티치료제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비이다.

2020-12-10 738
114

앱클론, ‘AT101’로 글로벌 CAR-T 치료제와의 차별성 확보

앱클론(대표이사 이종서)은 자사가 개발 중인 CAR-T 면역항암 세포치료제 ‘AT101’로부터 기존 글로벌 제품인 킴리아(노바티스) 및 예스카타(길리어드) 등과의 차별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킴리아와 예스카타는 CD19(B세포 유래 혈액암을 유발하는 질환단백질) 타깃의 CAR-T 치료제로서, 최근 상용화 이후 놀라운 치료 효과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제품이다. 이 제품들은 원천 기술이 되는 항체 개발에 있어 마우스에서 유래한 FMC63 항체를 사용하고 있는데, 앱클론의 AT101은 자체 NEST 기술로 발굴한 인간화 항체를 사용해 보다 향상된 항암 효과를 보인다는 설명이다. 앱클론 관계자는 “기존 CAR-T 세포치료제가 항암 작용을 위해 결합하는 부위(에피토프)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부위에 결합하는 인간화 항체를 개발해 적용했다”면서 “이렇게 개발된 AT101은 세포 근접 부위에 작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CD19 CAR-T 치료제에 불응하는 모델에서도 임상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CAR-T 세포의 활성화 수준도 보다 개선된 수치를 보여, 내년 IND 신청을 앞두고 고무적인 데이터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현재 앱클론은 킴리아의 산실이었던 미국 유펜(University of Pennsylvania) 의과대학 마르코 루엘라 교수팀과도 CAR-T 세포치료제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 공동연구팀은 기존의 CD19 CAR-T 세포치료제에 불응하는 모델을 구축했으며, 해당 모델로부터 기존 치료제로는 효능이 없으나 AT101에서 확연한 항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관련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한편, 앱클론은 현재 AT101의 임상 준비가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지난 5월 본사에 임상용 GMP 시설을 완공했으며, CAR-T 세포치료제 자동화 생산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등 내년 IND(임상시험계획) 신청을 앞두고 막바지 담금질에 매진하고 있다. 회사는 자동화 생산 프로세스를 통해 매뉴얼 프로세스 대비 제조공정 중의 오류나 오염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원가도 크게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앱클론의 GMP 시설은 연간 100명 규모의 임상을 진행할 수 있는 생산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AT101(혈액암 치료제)과 AT501(난소암 치료제)의 동시 임상을 진행하는 데에도 무리가 없다. 또한 미국 소재 렌티젠과 원료 물질인 렌티바이러스(렌티바이럴벡터) 공급 계약도 체결돼있어 원료 수급도 안정적이다. 앱클론은 AT101에 이어 zCAR-T(Switchable CAR-T) 기술이 적용된 AT501의 IND도 준비 중이다. AT501은 간단한 스위치 물질을 변경을 통해 다양한 암종에 확대 적용 가능한 플랫폼 성격의 치료제로서, 기존 CAR-T 세포치료제의 부작용인 사이토카인신드롬(Cytokine Release Syndrome) 제어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회사 관계자는 “자가유래 CAR-T 기술을 넘어 동종유래 CAR-T 기술도 개발 중”이라며 “2021년은 한국의 CAR-T 산업이 본격적으로 개화하는 원년이 될 것으로 기대하며, 앱클론이 국내외 CAR-T 산업을 선도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끝. ============ [참고] 1. CAR-T 세포치료제란?2017년 미 FDA 로부터 최초 승인된 “킴리아” 가 글로벌 임상 2상 중간 평가에서 80% 수준의 완전관해율을 보이며, 기적의 항암제로 불리게 된 혁신치료제. 노바티스의 ‘킴리아’, 길리어드 사이언스의 ‘예스카타’에 이어 최근 BMS의 ‘리소셀’까지 시장 진출을 선언하면서 글로벌 빅파마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면역항암제의 일종이다. 2. 앱클론 스위처블 CAR-T 세포치료제란?앱클론의 독창적인 zCAR-T 플랫폼을 통해 암세포 특이적 단백질에 직접 작용하는 CAR-T를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암세포를 공격하기 위해서 스위치(switch) 물질이 필요하도록 개선한 기술로 스위치 물질을 이용해 CAR-T 세포의 활성 및 증식, 표적 물질을 변경 및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점이 있다. 즉 하나의 스위처블 CAR-T를 제작해 놓고 스위치 물질을 암종에 따라 개발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앱클론이 개발하는 스위치 물질은 화학적으로 대량합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개발 비용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강점이 있다.

2020-12-07 715
Designed by CHAIRONE
© AbClon. All rights reserved.